기업회생신청의 10가지 영감 그래픽 정보

“ESG(환경·사회·지배구조)가 업체의 신용등급을 가르는 확정적 요인이 될 겁니다.”

A씨 대한민국신용평가 프로젝트파이낸싱(PF) 평가본부장(상무·사진)은 3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“ESG를 고려하지 않는 회사는 실적이 아무리 좋아도 신용등급을 높게 받기 어렵다”고 말했다. 우리나라신용평가는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의 계열사로 국내외에서 처음으로 ESG 채권 인증 https://www.washingtonpost.com/newssearch/?query=기업파산 시스템을 도입했다.

image

ESG 채권은 환경 및 금전적 가치를 증가시키는 특수목적 프로젝트에 요구되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공급하는 채권을 말한다. 녹색채권, 사회적 채권, 계속가능채권으로 구분된다.

안 본부장은 “국제사회가 각국 국회와 업체에 기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부담을 갈수록 많이 지우고 있다”며 “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어서 ESG 리스크가 기업 신용등급에 미치는 효과가 커질 수밖에 없다”고 이야기했다.

채권시장에서 업체의 신용등급은 회사채 발행 금리, 즉 금융비용들을 고르는 가장 결정적인 잣대다. 김 본부장은 “중초단기적으로 ESG 수준이 일정 기준에 못 미치면 투자 유치는 물론 비용시장에 대한 접근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”고 했다.

ESG 채권에 대한 사후 검증 필요성도 강조했다. 근래에 심해지는 ESG 채권 ‘붐이 몇 년 뒤 부실을 양산하는 ‘거품으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조달 시점 외에 채권 만기 전 중간 단계에서 끊임없이 적격성 검증을 하여야 한다는 뜻이다. B 본부장은 “대통령에서 ESG 채권의 사후 평가를 권고로 정하고 있어 금리 혜택 등을 받은 잠시 뒤 조달한 자금을 해당 프로젝트에 사용하지 않는 그린워싱(green washing·위장 배경주의)이 발생할 걱정이 있다”며 “선진국에서 공시 확장과 사후 검증이 필수사항이 되고 있는 만큼 국내외에서도 채권 투자자 보호를 위해 사후 검증을 의무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”고 기업파산신청 말했다.